개발 환경
Maven
자바 17
Visual Studio Code
1.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Spring Initializr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Spring boot 3.0 이상부터는 Java 17 버전이 필요하다고 한다.
나는 Java 11을 사용하고 있어서 Java 17을 새로 다운로드하였다.
[Java 다운로드]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downloads/
Download the Latest Java LTS Free
Subscribe to Java SE and get the most comprehensive Java support available, with 24/7 global access to the experts.
www.oracle.com
난 아래와 같이 그냥 기본으로 설정하였다.
"GENERATE"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2.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
다운로드 한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
터미널을 열고 프로젝트가 생성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3. 프로젝트 빌드
Maven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빌드했다.
mvn clean install
4. 프로젝트 실행
빌드가 완료되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mvn spring-boot:run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80/ 에 접속하여 "Whitelabel Error Page"가 표시되는지 확인한다.
혹시 빌드가 안되거나 Whitelabel Error Page가 안 뜬다면, 자바 버전이나 'JAVA_HOME' 환경 변수를 확인해봐야 한다.
5. HTML
templates 폴더 안에 "hello.html" 파일을 생성한다.
프로젝트 생성 할 때, dependency로 추가한 thymeleaf를 사용하기 위해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를 작성해주었다.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meta charset="UTF-8">
<title>Hello</title>
</head>
<body>
<p th:text="${say} + ' World'" />
</body>
</html>
6. Controller
기본 main 패키지 아래에 controller 폴더와 HelloController 파일을 생성해주었다.
package com.example.demo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
fun hello(model: Model): String {
model.addAttribute("say", "Hello")
// html 파일 이름
return "hello"
}
}
7. 프로젝트 실행
터미널을 열고 프로젝트가 생성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Maven을 사용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해준다.
./mvnw spring-boot:run
출력 성공 !
[참고]
https://while1.tistory.com/104
[Spring Boot] spring initializr 사용하기
spring initializr spring boot 기반으로 spring 관련 프로젝트를 생성해주는 사이트로 project를 다운로드 하여 쉽게 사용 가능하다. https://start.spring.io/ 🔥Project 과거에는 Maven을 많이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while1.tistory.com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Maven 설치 (0) | 2024.02.22 |
---|